1. 화면개요

미국 경제지표를 종합지수와 대비하여 추이를 제공하는 화면입니다.

2. 화면설명

조회 입력부
조회하고자 하는 경제지표를 클릭하면 해당지표와 코스피지수(업종)가 비교되어 조회됩니다.
비교추이 그래프
상단은 주가지수 그래프 영역이고, 하단은 선택한 경제지표 영역입니다.

용어 설명

경기선행지수

경기동향에 관한 각종 경제통계 중 경기의 움직임에 선행하여 움직이는지수를 말한다. M₁(통화, 통화량) = 현금통화 + 예금통화M₂(총통화) = M₁(통화량) + 저축성예금M₃(총유동성) = M₂(총통화) + 제2금융권의 각종 예수금 및 금융채,CDM₃는 총유동성(總流動性). 총유동성은 총통화(M₂)에 증권ㆍ보험ㆍ은행신탁 등 제2금융권의 각종 예금을 모두 포함시킨 것으로 가장 넓은의미의 통화지표이다. 통화지표란 시중에 돈(통화)이 얼마나 풀려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통화관리를 책임지고 있는 한국은행이 작성하는 통계숫자를 말한다.

소비자신뢰지수

미국 경제상태를 나타내는 경기선행지수의 하나로 사설조사 그룹인 콘퍼런스보드(conference board)가 매월 발표한다. 이 지수는 현재의 지역경제상황, 고용상태와 6개월후의 지역경제, 고용 및 가계수입에 대한 전망을 조사하여 지난 85년 평균치를 100으로 기준삼아 비율로 표시한다. 이와 유사한 지수로는 구매계획지수와 미시간대학이 발표하는 소비심리지수 등이 있다.

산업생산지수

산업생산지수는 일정 기간 중 이루어진 산업생산활동의 수준을 나타 내는 지표로서 전체 경기의 흐름과 거의 유사하게 움직이는 대표적인 동행 지표이다.

실업률

노동력이 완전 고용되지 않은 상태. 원인별로 분류하면 ①계절적 실업 ②마찰적 실업(노동력의 이동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훈련, 그밖의 일로 직업에 종사 못함) ③자발적 실업(일하고 싶지 않다) ④비자발적 실업(일하고 싶으나 일자리가 없다) 등이 있으며, 협의로는 ④를 실업이라고 말하는데 케인스는 완전고용이란 ④가 없는 상태로 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밖에도 불만상태 속에서 취업을 하고 있는 위장실업, 경제정체 또는 불황으로 인해서 생기는 구조적 실업, 저개발국의 직장 부족으로 생긴 기술적 실업 등의 개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