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면개요

옵션 종목별 역사적변동성과 내재변동성, 평균변동성을 일별 그래프와 함께 제공하는 화면입니다. 변동성 분석을 통하여 선택한 옵션 종목의 고평가/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화면설명

옵션내재 변동성추이 메인
종목선택 및 요약시세 조회
선택한 옵션 종목의 요약정보가 제공됩니다.
종목코드 검색기를 통해 종목을 선택하면 옵션종목의 현재가 및 요약시세 정보가 제공됩니다.
조회 항목을 선택합니다.
버튼 : 텍스트 추이 제공
버튼 : 차트 추이 제공
변동성추이, 변동성차트
일반적으로 내재변동성이 변동성에 비해 크면 고평가, 작으면 저평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용어설명

변동성이란?
≫ 변동성의 정의
옵션거래에서 사용하는 변동성은 옵션의 만기까지의 기초자산가격 변화율의 분포의 정도 (표준편차)를 의미하며, 이는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기간동안 어느 정도 움직이는가를 표시한 것임.

≫ 역사적 변동성
과거 데이타를 이용한 일정기간 동안의 기초자산가격 변화율의 표준편차를 의미.

≫ 내재변동성
옵션의 시장가격에 내재된 변동성, 즉 "옵션가격결정모형"에서 산출된 이론가격이 시장가격과 같아지도록 하는 변동성을 의미.
옵션의 이론가는 기초자산가격, 행사가격, 잔존기간, 변동성, 이자율로 정해지며 이중 변동성을 변수로 놓고 역산하여 계산한 값이 내재변동성이다.

≫ 투자에 있어서 내재변동성
지수옵션거래를 하기 위해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하며 옵션 투자자들은 가격보다도 내재변동성이 어떤 수준인가에 더욱 신경을 써야한다.
각각의 옵션 종목에 표시되는 내재변동성은 대개 40%에서 80%까 지를 오르내리는데 이값이 40%미만이면 투자자들은 그 옵션가격이 저평가된 것으로 이해.